구분 |
실기 심사항목 |
전문 계발 |
1. 코칭합의
-코칭 주제와 목표를 명료화하고 합의하였다.
|
2. 성과관리
-코칭세션을 마무리하면서 코칭 성과를 확인하였다.
|
관계 구축 |
3. 수평적 파트너십
-고객을 수평적인 관계로서 존재를 인정하며 대하였다.
|
4. 신뢰감과 안전감
-고객에게 긍정반응, 인정, 칭찬, 지지, 격려, 신뢰 등의 언어를 상황에 맞게 사용하였다.
|
5. 존재 인정
-고객의 특성, 정체성, 스타일, 언어 패턴을 알아주고 적용하였다.
|
6. 호기심
-고객의 주제와 존재에 대해서 관심과 호기심을 보였다.
|
적극 경청 |
7. 맥락적 이해
-고객이 말한 것과 말하지 않은 것을 맥락적으로 헤아려 듣고 표현하였다.
|
8. 반영
-어조 높낮이, 속도 맞추기, 추임새 또는 맞장구 등을 하면서 경청하고, 고객의 이야기를 재진술, 요약하거나 직면하도록 도왔으며, 침묵(Space)을 활용하면서 경청하였다.
|
9. 공감
-고객의 생각이나 감정, 의도나 욕구를 이해하며, 이해한 것을 고객에게 표현하였다.
|
10. 고객의 표현지원
-고객이 자신의 생각, 감정, 의도, 욕구를 표현하도록 도왔다.
|
의식 확장 |
11. 질문
-긍정적, 중립적 언어로 개방적 질문을 하였다.
|
12. 기법 활용
-고객의 상황과 특성에 따라 침묵(완급 조절), 은유, 비유 등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였다.
|
13. 의미확장과 구체화
-고객의 말에서 의미를 확장하거나 고객의 말을 구체화 또는 명료화 하도록 도왔다.
|
14. 통찰
-고객이 알아차림이나 통찰을 하도록 도왔다.
|
15. 관점전환과 재구성
-고객이 관점을 전환하거나 재구성하도록 도왔다.
|
16. 가능성 확대
-고객의 상황, 경험, 사고, 가치, 욕구, 신념, 정체성 등의 탐색을 통해 가능성 확대를 도왔다.
|
성장 지원 |
17. 정체성과의 통합 지원
-고객의 학습과 통찰을 자신의 가치관 및 정체성과 통합하도록 지원하였다.
|
18. 자율성과 책임 고취
- 고객이 행동 설계와 실행을 자율적이고 주도적으로 하도록 고취하였다.
|
19. 행동전환 지원
-고객이 실행계획을 실천하도록 점검 또는 후원환경을 만들었다.
|
총평 |
20. 총평(에세이 등)
-코칭 윤리, 태도, 코칭 시간 엄수(35분~40분), 응시환경 조성을 하였다.
-코치로서의 특성/장점이 드러났다.
|